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련정보

BMI지수 계산식 이렇게 하면 됩니다.

반응형

다이어트를 하시는 분들이나, 체중 관리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BMI 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 보셨을거라고 생각이 됩니다. BMI 는 키와 몸무게로 계산하는 체질량 지수 인데요. 이 BMI 는 보험업곙테서 처음 만들어 냈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 1895년에 미국 메트로폴리탄이 고객의 키,나이,체중등을 작성한 신장체중표에서 유례되었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BMI 지수를 어떻게 계산을 하는지 알아 보았습니다. 아마도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을거라고 생각이 되는데요. 혹시 아직 BMI 지수를 계산 하는 방법을 모르셨다면 참고 하시면 좋을거 같아요. 

BMI 지수는 몸무게 나누기 키로 계산

아마도 알고 계시는 분들도 많은데요. BMI 지수는 정말 간단하게 계산을 할수가 있습니다. 그냥 몸무게를 키로 나누면 그게 BMI 지수가 됩니다. 

BMI 지수 : 몸무게 (kg) / 키 (cm) 제곱

만약에 몸무게가 55 kg 이고, 키가 168cm 라고 한다면 55/(1.68)제곱 으로 BMI 지수는 19.4 가 됩니다. 168cm 를 1.68 로 계산한 이유는 BMI 지수에 사용되는 단위는 m 이기 때문에 cm 를 m 로 변환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럼 직접 BMI 지수를 한번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하게 계산기를 이용하시면 쉽게 계산을 할수 있을거 같아요.

 

BMI 지수로 보는 비만도

BMI 지수를 기준으로 비만을 구분하는건 서양과, 동아시아등 지역에 따라서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대한미만학회의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구분을 하고 있습니다. 

BMI 구분
<18.5 저체중
18.5~23 정상
23~25 과체중
25~30 경도비만
30~35 중등도비만
35이상 고도비만

하지만 BMI 지수가 절대적이지는 아니기 때문에 꼭 BMI 로 비만을 판단 하기에는 다소 문제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의학적으로 비만은 체지방이 많은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꼭 키에비해 몸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을 얘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비만관리를 위해서는 체지방률 관리가 중요하다고 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만도를 얘기할때 많이 언급이 되는 BMI 지수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어떻게 계산하는지 참고하셔서 궁굼하신분들은 계산해 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절대적으로 BMI 지수를 믿는것도 문제가 있을수 있으니 꼭 체지방률 관리를 같이 하시기 바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