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

기름값 계산기 활용하기

반응형

차를 많이 이용 하시거나 출퇴근에 사용 하시면 아무래도 걱정 되는게 주유비 입니다. 그리고 차를 가지고 멀리 가실때도 걱정인게 바로 주유비 인데요. 기름값 계산기 활용하기 포스팅을 통해서 사전에 기름값을 계산해 볼수 있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물론 많이들 사용 하시는 방법이구요. 네이버 지도를 이용한 방법 입니다. 


어떤 회사에서는 네이버 지도에서 계산된 기름값을 기초로 주유비를 지원 하는 경우도 있을만큼 많이 사용 하는 방법입니다.

일단은 네비버 지도에 접속을 하세요. 

네이버 지도에 접속을 하셨다면 출발지를 검색 하시면 되는데요. 보통은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지도가 표시 되니 지도에서 찾으셔도 되고 검색을 통해서 찾으셔도 됩니다. 지도를 많이 이용 하신 분들은 어렵지 않게 하실수 있을거에요.

다음으로 검색된 출발지가 있으시다면 해당 출발지를 선택 하신후에 아래처럼 출발로 지정을 합니다. 출발로지정을 하시게 되면 자동으로 길찾기로 넘어 가게 됩니다.

하단에 도착지를 입력 하세요. 라고 나오면서 도착지를 입력 하도록 되어 있는데요. 도착지를 입력 하시면 됩니다. 도착지를 입력 하시면 하단에 동일하게 검색 결과가 표시가 되구요. 목적지가 있으시면 해당 목적지를 선택 하시면 됩니다.

목적지를 선택 하셨다면 하단과 같이 도착으로 설정 하는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길찾가 진행이 되고 네비게이션처럼 전체 경로를 알려 주게 됩니다. 여기에서추가로 보여주는게 바로 오늘 기름값 계산기 활용하기 에 필요한 주유비 정보 입니다.

주유비는 현재 유가정보와 길찾기에 나온 거리등을 가지고 계산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본인의 차량의 연비도 다를수 있고 차량도 다르고 유종도 다르니 본인에 맞는 걸로 변경을 해줘야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 질건데요. 


주유비 정보의 옆에 있넌 i 모양의 아이콘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그러면 하단과 같이 별도의 팝업이 뜨고 현재 주유비 계산을 어떤 기준으로 했는지를 보여 줍니다. 그리고 하단에 설정하기 부분이 있는데 여기에서 설정 하기를 눌러서 차량과, 유종, 그리고 연비등을 변경 할수 있습니다.

설정하기를 누르시면 아래와 같이 차종 선택, 유종선택, 연비 입력 등을 할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본인의 차량의 평균 연비를 입력 하시면 어느정도 정확한 정보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 됩니다.

이상 지금까지 기름값 계산기 활용하기 에 대한 내용이였습니다. 이제 점점 추세는 전기차로 너어 가고 있는거 같은데요. 하지만 아직까지는 먼듯한 얘기 인거 같습니다. 전기차가 일반화 될때까지 기름값 계산기 잘 활용 해서 연비

를 절약 하는것도 방법인거 같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길 바라면서 포스팅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