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운행을 하려고 차에 탔는데 시동이 안걸리는 경우를 한번쯤은 모두 겪어 보셨을겁니다. 대부분 차의 실내등을 켜 놓으시거나 라이트를 켜 놓거나 혹은 요즘 블랙박스 상시모드를 해놓고 전압설정을 안해서 계속 켜져 있어서 배터리를 방전 시킨 경우가 있죠. 오늘은 자동차 배터리 교체시기 에 대해서 알아 보려고 합니다.
자동차의 주요 부품중 하나가 배터리 인데 배터리는 자동차의 전기계통에 전원을 공급해 주고 시동을 걸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이죠. 이 배터리에 문제가 있을경우에 시동이 안걸리는 일이 발생 하게 되는데요. 자동차 배터리 교체 시기는 어떻게 될까요?
아래 상태로 배터리를 교체 해야 하는 시기인지 알수가 있습니다.
1. 시동이 늦게 걸릴때
자동차 시동을 켜실때 한번에 걸리지 안고 오래동안 기기기~~익 걸리면서 바로 안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 차가 버튼식이라서 조금 다를수도 있으나 예전에 키로 동작 할때는 키를 돌리고 있는데 바로 시동이 안 걸릴때가 있죠. 이건 밧데리의 수명이 다 되어 스타트 모터를 돌려주는 힘이 약해서 그렇게 되는 경우 입니다.
2. 엔진경고등 불빛이 약하다.
키 상태를 ACC 에 놓았는데 엔진 경고등 불빛이 약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면 이것 또한 배터리 교환 시기가 되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때는 아예 시동 시도 조차 못하는 경우일수도 있습니다.
3. 배터리 상태 지시경 확인
배터리 상태 지시경은 배터리의 상태를 바로 확인할수 있는 방법인데요. 배터리마나 있을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습니다. 요즘 배터리는 대부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색으로 구분 하게 되는데 교체가 필요한경우는 백색같은 색으로 표시가 된다고 합니다. 이때 자동차 배터리 교체시기 가 되었다는걸 확인 할수 있습니다.
4. 배터리 용액 확인
이것도 배터리마다 혹은 차량 마다 다를수 있습니다만, 배터리 대부분은 배터래 내부 배터리액이 비치도록 되어 있습니다. 용액이 얼마나 남았냐에 따라서 배터리 교체 시기를 알수 있습니다.
5. 배터리 연결 부분 부식
만약에 배터리가 연결되는 +, - 부위에 부식이 보인다면 배터리액의 누액으로 인해서 발생된 것일수도 있습니다. 이럴경우도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입니다.
6. 배터리 연식
자동차 배터리는 보통 3년마다 교체 하는걸 권고 한다고 합니다. 국내 자동차의 경우 3년 이내 혹은 50000Km 당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배터리 교체 한 시기를 확인하신후 이 기간에 들어 간다면 교체 하는게 좋습니다.
7. 전압 체크
조금더 정확하게 전압을 체크 하여 확인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압 체크의 경우에 전압 체크 할수 있는 도구가 있어야 하고 처음 만지시는 분들은 조금 하기 힘들수도 있습니다.
12.66v. . . . . . . . . . 100 %
12.45v. . . . . . . . . . 75 %
12.24v. . . . . . . . . . 50 %
12.06v. . . . . . . . . . 25 %
11.89v. . . . . . . . . . 0 %
일반적으로는 위와 같이 되어 있는데 전압이 낮을 경우 수명이 다 되어 완충이 안되므로 교환이 필요한 상태로 봐야겠죠.
이 외에도 배터리 경보등이 들어온다면 확인을 하신후에 필요시 교체를 받아야 합니다. 지금까지 자동차 배터리 교체시기 에 대해서 알아 봤습니다. 이제 곧 겨울이 오니 월동 준비 차원에서 자동차 한번씩 확인해 보시는게 어떨까요??
'유용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관리비조회 방법 (0) | 2016.10.06 |
---|---|
불면증 약없이 극복하기 (0) | 2016.10.04 |
난독증 테스트 방법 (0) | 2016.09.22 |
내용증명 작성방법 및 보내는 방법 (0) | 2016.09.19 |
돈버는어플 추천 오토캐시 후기 (0) | 2016.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