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정보

2023년도 공무원 봉급표를 확인하는 방법

반응형

많은 분들이 공무원이 받는 급여에 대해서 궁굼을 하시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3년도 공무원 봉급표를 확인하는 방법과 공무원들의 급여 체계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그리고 작년대비 공무원의 급여는 얼마나 좋아 졌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공무원 봉급표는 일반직공무원/소방,경찰공무원/연구직/지도직/교원/군인등의 직종별로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봉급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공무원은 봉급(기본급) 외 수당을 받는다.

공무원은 기본급외에 각종 수당을 받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야근을 하더라도 야근수당을 못 받는 경우가 많이 있지만 공무원들은 상여수당(3종), 가계보전수당(4종), 특수지근무수당, 특수근무수당(4종), 초관근무수당(2종) 등의 다양한 수당을 받게 되어 있습니다. 

초과 근무수당의 경우 5급이하 공무원의 경우 시간외 근무, 야간근무, 휴일근무를 받을수 있고 4급이상의 공무원의 경우 월 봉급액의 9%에 대한 관리업무수당을 받을수 있습니다. 

그외 정액급식비, 직급보조비, 명절휴가비, 연가보상비등을 수당으로 받게 됩니다. 

 

공무원은 공무원연금이 있다. 

공무원연금은 국가를 위해 일하는 공무원을 위해 설계된 퇴직 및 장애 보장 시스템입니다. 연금은 공무원의 급여와 근무 연수에 따라 계산됩니다.
공무원은 매월 급여에서 연금 기여금을 납부합니다. 이 기여금은 공무원연금공단에 의해 관리됩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공무원연금을 지급할 책임이 있습니다.
공무원은 60세가 되면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은 60세 이전에 연금을 받을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매월 받는 연금이 줄어듭니다.
공무원은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공무원은 장애가 발생한 날로부터 1년 이내에 연금을 신청해야 합니다.
공무원연금은 공무원이 은퇴 후에도 안정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연금 책정은 기봉소득월액을 기준으로 하며, 공무원의 직위, 근무 연수, 호봉에 따라 산정됩니다.
기본소득월액은 매년 공무원연금공단에서 공표합니다. 공무원연금공단은 공무원연금의 재정 상황을 고려하여 기본소득월액을 조정합니다.
기본소득월액은 공무원연금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기본소득월액이 높을수록 공무원이 받는 연금도 높아집니다.

 

2023년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는 인사혁신처에..

제일 궁굼해 하시는 2023년 공무원 봉급표의 경우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에서 자세히 볼수가 있습니다. 

작년대비 일반직공무원 9급 1호봉을 기준으로 1,770,800원으로 책정이 되어 있는데요. 이는 2022년 9급 1호봉 1,686,500 에 비해서 4.9% 정도가 오른 수준입니다. 

아래 표는 일반직 공무원에 대한 1호봉에서 5호봉까지의 봉급표 입니다. 

호봉/계급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9급
1 4,261,100 3,836,000 3,460,900 2,966,200 2,650,700 2,186,800 1,962,300 1,805,100 1,770,800
2 4,410,400 3,978,300 3,588,900 3,087,300 2,757,800 2,288,500 2,051,800 1,863,600 1,789,800
3 4,563,600 4,122,500 3,720,800 3,210,400 2,869,100 2,393,400 2,146,600 1,924,200 1,821,500
4 4,720,200 4,268,100 3,853,600 3,336,400 2,984,600 2,500,600 2,246,200 2,015,700 1,865,700
5 4,880,600 4,415,700 3,988,600 3,464,100 3,103,200 2,611,000 2,349,400 2,110,800 1,922,300

그리고 아래는 경찰/소방공무원의 1호봉 부터 5호봉까지의 봉급표 입니다. 

호봉/계급 치안정감
소방정감
치안감
소방감
경무관
소방준감
총경
소방정
경정
소방령
경감
소바경
경위
소방위
경사
소방장
경장
소방교
순경
소방사
1 4,261,100 3,836,000 3,460,900 3,107,400 2,860,900 2,469,700 2,206,700 2,093,500 1,849,500 1,770,800
2 4,410,400 3,978,300 3,588,900 3,228,500 2,968,000 2,575,900 2,310,700 2,183,000 1,934,500 1,806,500
3 4,563,600 4,122,500 3,720,800 3,351,600 3,079,300 2,684,200 2,416,000 2,277,800 2,024,100 1,870,000
4 4,720,200 4,268,100 3,853,600 3,477,600 3,194,800 2,795,700 2,524,200 2,377,400 2,115,700 1,936,400
5 4,880,600 4,415,700 3,988,600 3,605,300 3,313,400 2,909,000 2,635,200 2,480,600 2,210,800 2,026,900

기본적으로 비슷한 수준의 봉급을 가지고 있지만, 계급등이 조금더 세분화 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는걸 볼수가 있습니다. 

더 자세한 공무원 봉급표에 대해서는 아래 공무원봉급표 페이지에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https://www.mpm.go.kr/mpm/info/resultPay/bizSalary/2023/

인사혁신처 홈페이지이며, 더 많은 정보를 확인 하실수가 있습니다. 

이상으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3년 공무원 봉급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공무원에 뜻이 있으신 분들은 참고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 실제 급여 수준은 기본 봉급이외에 수당을 포함해야 하므로 하는업무등에 따라서 많은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반응형